<끊을 수 없는 ‘한탕의 유혹’… ‘도박중독’ 치유 겉돈다>
인천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5곳 불과 센터당 전문인력 평균 4~5명 불과 태부족 약물·알코올 등 함께 감당… 역할 한계 지적 도박 중독자만을 위한 치료·예방 시설 절실
최근 인천 미추홀구 틈 문화창작지대 다목적홀에서 이광민 마인드랩공간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이
‘도박의 덫, 예방을 위한 처방(부제: 도박의 함정에서 빠져나오기)’을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장민재기자
인천시민들의 복권이나 경륜, 경정 등 사행성 활동 참여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를 치유하고 예방할 지역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역에서 도박·알코올·약물 중독 등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5곳
(동구·연수구·남동구·부평구·계양구)에 불과하다. 이들 센터는 상담과 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센터당 전문 인력은 평균 4~5명 수준이다.
이들 5개 센터는 연간 573명의 중독자를 등록·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도박 뿐 아니라 약물·알코올 중독 사례까지 함께 다루고 있어
도박 중독자만을 위한 전문 치료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또 각 군·구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11곳에서도 정신질환 고위험군 발굴과 상담을 하고 있으나, 중독 문제만을 다루는 전담 프로그램은 부족하다.
특히 불법 도박에 노출된 청년층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은 상담·교육 수준에 머물러 실질적인 개입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광민 마인드랩공간 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은 “도박 중독은 대부분 자발적인 치료 의지가 없는 상태에서 가족에 의해 끌려오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적극적인 치료 연계와 전문 인력 확충 없이는 회복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지역 안팎에서는 도박 문제를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인력과 기관이 부족한 만큼, 중독 예방 정책이 현장에서 작동하려면 인프라 구축과 예산 확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다.
유경희 인천시의회 문화복지위원장(더불어민주당·부평2)은 “도박 문제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제도적 대응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시민들이 타 지역에 비해 사행성 활동 참여율이 높은 만큼 중독 예방과 치유를 위해 전문 인력 보강과 예방 프로그램 등을 늘릴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인천에 약 200명의 정신건강 인력이 있지만 전국 평균보다 적어 보건복지부에 인력 보충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운영을 강화하고, 인식 개선과 조기 예방을 위한 교육·캠페인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